그러나 WHOIS Privacy 서비스를사용하면개인정보가 WHOIS 데이터베이스에공개되지않습니다. 대신, WHOIS Privacy 서비스제공자의정보가대신표시됩니다. 이로써도메인소유자의개인정보를보호할수있습니다.
WHOIS Privacy는도메인등록자가스팸메일, 스캼, 사기등에대한위험을줄이고개인정보보호를강화할수있는방법입니다. 또한, 비즈니스소유자나사적인목적으로도메인을등록한경우에도개인정보를숨길수있습니다.
1. 언어
먼저 많은 한국분들이 언어 문제 때문에 국내 도메인 업체를 사용하게 된다. 국내 도메인 업체는 해외 도메인 업체와 달리 비교적 가격이 조금 높게 형성이 되어 있기 때문에, 가격적인 메리트를 찾고자 한다면 해외 도메인을 구매하는 것을 추천하고 고객센터의 도움(환불 및 등록 관련 문제 문의)을 받아야하는 일이 생길 것 같다면 조금 비용을 더 지불하여 국내 호스팅 업체를 선정하자(보통 그렇게까지 크게 차이 나지는 않는다)
2. 가격
아마 선택시 가장 중요한 사항이 아닐까 싶다. 해외에서는 무료 도메인도 있으나 자기만의 도메인으로 만들기 어렵고 보통 해당 업체의 도메인 주소가 뒤에 무조건 붙게 된다. (예, www.mydomain.업체도메인) 따라서 자신만의 도메인을 구매하고 싶다면 호스팅에서 구매를 해야하는데, 년 단위로 구매를 하게 된다.
해외 업체를 통해서 구매를 하고 싶다면, 가격을 비교할 수 있는 사이트도 있는데, 아래의 예시 사이트에서 가격을 비교해볼 수 있다. 단, 여기서 주의해야할 사항은
연장을 한다고 생각하고 1년 뿐 아니라 그 이상 가격도 체크하자 - 대부분 업체들은 처음 1년만 비교적 저렴하게 제공하고 그 이후 연장시에는 더 많은 비용(예:고대디,Godaddy)을 청구할 수 있다. 따라서 구매시 꼭 1년 뿐 아니라 연장시 가격도 체크하자
고대디
글로벌 업체의 경우 지역, 화폐 단위로 가격이 다를 수도 있다 - 세금 등의 문제로 일부 글로벌 업체의 경우 지역 및 화폐 단위로 가격이 달라질 수 있다. 혹은 간혹 일부 사이트(예:고대디)의 경우 할인 쿠폰 등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
부가 서비스(3번, 아래 자세한 설명)가 비용에 포함 여부도 잘 체크한다 - 도메인 구매시 고려할 사항은 도메인 가격 비용 뿐만 아니라 Whois Privacy이 SSL 서비스 등 꼭 챙겨야 할 사항이 있는데 해당 부가서비스들이 무료로 제공되는지도 꼭 체크하자
위에 잠시 설명하였던데로, 도메인 구매가 전부가 다가 아니다. 위에서 설명한 WHOIS Privacy이나 *SSL (인증서)혹은 NameServer를 Custom 할 수 있는지 등의 여부를 꼭 체크해야한다. SSL 쉽게 비유하자면 웹사이트상의 공인인증서와 비슷하다. 예를 들어, 필자의 경우 클라우드 플레어(Cloudflare)에서 업체에서 도메인을 구매하였는데, 네임서버를 Custom하기 위해서는 계정을 업그레이드를 해야하는데 최소 월 2만원 이상 지불해야했다(물론 해당 비용안에는 굉장히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SSL은주로온라인상거래, 인터넷뱅킹, 개인정보제출과같이보안이필요한웹사이트에서사용됩니다. SSL은또한그발전형태인 Transport Layer Security (TLS)로대체되었으며, 현재는 TLS 1.3 버전이널리사용되고있습니다.
네임서버(Name Server)란
NameServer는인터넷도메인이름시스템(DNS)에서사용되는중요한구성요소입니다. DNS는인터넷에서도메인이름을 IP 주소로변환하여통신을가능하게하는시스템입니다. 도메인이름은사람이쉽게기억하고사용할수있는형식이지만, 컴퓨터는 IP 주소를사용하여통신합니다.
NameServer는도메인이름과해당도메인에대한 IP 주소간의매핑정보를유지하고관리합니다. 즉, 도메인이름에대한 IP 주소를찾아주는역할을합니다. 클라이언트가특정도메인이름에대한 IP 주소를요청하면, 클라이언트의컴퓨터는설정된 NameServer에해당요청을보냅니다.
NameServer는일종의데이터베이스서버로, 도메인이름과해당도메인의 IP 주소를저장하고관리합니다. 이러한정보를캐싱하여반복적인요청에대한응답속도를향상시킵니다. 또한, 도메인이름의계층구조를관리하고도메인이름을다른 NameServer로전달하여계층적인분산시스템을구성할수있습니다.
NameServer는도메인이름을 IP 주소로변환하는데에만사용되지않습니다. 추가적으로, 이메일서비스를위한 MX(Mail Exchanger) 레코드, 서브도메인을위한 CNAME(Canonical Name) 레코드등다양한유형의 DNS 레코드를관리할수있습니다. 이를통해도메인에연결된다양한서비스를지원하고관리할수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도메인이름을등록하는도메인등록업체에서 NameServer를제공하거나, 사용자는자체 NameServer를설정하여도메인이름과 IP 주소를관리할수있습니다.
클라우드 네임서버
4. 편의성
필자의 경우 웹개발자라 굉장히 다양한 서비스를 체험 및 이용해보고 싶었다. 그래서 가상 클라우드의 부동의 1위인 AWS를 이용하고 있는데, AWS에서는 정말 정말 굉장히 많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보안 관련 서비스도 제공하고 사이트를 글로벌적으로 조금 더 빨리 보여주기 위한 CDN 서비스 등이 있는데(AWS 관련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굉장히 범위가 넓은 주제이다). 따라서 도메인 구매 비용이 타사대비 아주 조금 비쌌지만(년 기준으로 해서 몇 달러) 연동하기도 편하고 많이 쓰이는만큼 어떻게 사용해야하는지 관련 영상이나 설명이 많아 AWS (Route 53)에서 도메인을 구매하기로 했다.
다만 AWS에서 생각없이 다양한 서비스 이용하다가 많은 비용이 부과될 수 있으므로, 해당 서비스들의 사용 비용을 꼭 체크해야한다.
그 외에 알면 좋은 사항들
도메인 등록 기관은 인터넷 도메인 이름을 등록하는 기관을 말합니다. 도메인 이름은 인터넷에서 웹사이트나 이메일 주소 등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주소입니다. 도메인 등록 기관은 도메인 이름을 구입하고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도메인 등록 기관은 다양한 회사나 조직에서 운영되며, 일반적으로 도메인 등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독립적인 업체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도메인 등록 기관으로는 다음과 같은 기관들이 있습니다:
ICANN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ICANN은 인터넷의 전체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을 관리하는 국제 비영리 기구입니다. ICANN은 최상위 도메인(TLD) 등록 기관을 인증하고 감독하며, 도메인 등록 기관과 사용자 간의 규칙을 관리합니다.
도메인 등록 업체 (Domain Registrars): 도메인 등록 업체는 개별적인 도메인 이름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도메인 등록 업체는 ICANN과 협력하여 도메인 이름을 등록하고, 소유자 정보 관리, DNS 설정 등 도메인 관련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대표적인 도메인 등록 업체로는 GoDaddy, Namecheap, Google Domains 등이 있습니다.
국가별 도메인 등록 기관: 각 국가는 자체적으로 도메인 이름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해 독자적인 도메인 등록 기관을 운영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의 경우 한국 인터넷진흥원(KISA)이 '.kr' 도메인의 등록을 관리합니다
이외에도 많은 도메인 등록 기관이 존재하며, 도메인 이름을 등록하려는 경우 해당 도메인 등록 업체나 국가의 도메인 등록 기관을 선택하여 도메인 등록 절차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